반응형 RabbitMQ2 STOMP와 RabbitMQ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이전 포스팅에서 STOMP를 이용한 채팅서비스를 개발했었다. https://miiro-under.tistory.com/273 Stomp를 활용한 웹소켓 구현 서론 Stomp를 이용하여 웹소켓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Stomp에 관한 개념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https://miiro-under.tistory.com/272 Message Broker STOMP 개념 서론 Message를 miiro-under.tistory.com 여기서 간단히 정리를 하자면 STOMP 는 publish/subscribe(발행/구독) 구조로 간단하게 메시지를 선택해서 수신을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스프링에서는 내장 브로커를 제공하지만, 여러 문제점이 있다. 1. In Memory 형식으로 .. Spring/Issue 2024. 1. 30. RabbitMQ vs 카프카(Kafka) RabbitMQ와 Kafka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시지 큐(Message Queue) RabbitMQ와 Kafka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메시지 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메시지 큐(Message Queue)는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 인스턴스가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때 사용하는 통신방법이다. 더 큰 의미로는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OM)를 구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DUCER : 정보를 제공하는 자 CONSUMER : 정보를 제공받아서 사용하려는 자 QUEUE : Producer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 및 Consumer에 제공하는 곳 Message Queue에서 메시지는 End-Point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하지 않고 중간에 Queue 를 통해 중개된다. 메시지 흐름 순서 1... Network 2024. 1.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