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97 엔티티(Entity) 설계 및 클래스 구성 엔티티 설계와 클래스 구성 엔티티(Entity) 설계하는 것과 엔티티를 사용하기 위한 클래스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엔티티 설계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직접 쿼리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JPA에서는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응하는 클래스이다. 엔티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쓰일 테이블과 칼럼을 정의한다. 엔티티에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테이블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엔티티 클래스 내용 클래스 생성 후에 application.properties에 정의한 spring.jpa.hibernate.ddl-auto 값을 create 같은 테이블을 생성하는 옵션으로 생성하면 쿼리문을 작성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이 자동으로 만들..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1. 2.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feat. MariaDB) 데이터베이스 연동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groupId(그룹) : com.springboot name(이름), artifactId(아티팩트) : jpa Developer Tools : Lombok, Spring Configuration Processor Web : Spring Web SQL : Spring Data JPA, MariaDB Server 추가 내용 Swagger 의존성 pom.xml(Maven)에 추가 소스코드 config/SwaggerConfiguration.java @Configuration @EnableSwagger2 public class SwaggerConfiguration { @Bean public Docket ap..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1. 2. Spring Data JPA와 Entity의 설명 Spring Data JPA JPA 사용을 도와주는 스프링 하위 프로젝트 중 하나인 Spring Data JP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pring Data JPA Spring Data JPA는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프링 하위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CRUD 처리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하이버테이트의 엔티티메니저(EntityManager)를 직접 다루지 않는다. 리포지토리(Repository)를 정의해 사용함으로써 스프링이 적합한 쿼리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DB를 조작한다. 이를 통해, 하이버네이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구현한 라이브러리이다.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엔..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1. 1. ORM과 JPA의 개념 이해 ORM과 JPA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매핑하는 방법 중 하나이 ORM과 ORM의 종류 중 하나인 JP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자바와 같은 객체 지향 언어에서 의미하는 객체와 RDB(Relational Database)의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방법이다.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에 불일치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ORM은 해당 2개의 불일치와 제약 사항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ORM의 장점 1. ORM을 사용하면서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객체지향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쿼리문을 작성하는 양이 현저히 줄어 개발 비용이 줄어든다. 객체 지향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을 높..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1. 1. MariaDB 설치하기 및 접속하기(feat. Windows) 데이터베이스 툴 애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로직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가 꼭 필요합니다. 그 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리아DB(MariaDB)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riaDB 설치 설치 경로 https://mariadb.org/download/ 설치 파일 개발 환경 설정 MariaDB Server Version : MariaDB Server 10.11.5([Display older releases ✔]) Operating System : Windows/Linux Architecture : x86_64 Package Type : MSI Package/Zip File 설치 시 체크 사항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인코딩 방식인 UTF-8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Use UT.. DBMS/MariaDB 2023. 10. 31. git-bash-here 작동 방법(feat. Windows) Open git-bash-here 작동 방법 현재 탐색기 폴더에서 git-bash 콘솔을 열 수 있는 windows 탐색기(오른쪽 마우스) 메뉴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배치 파일을 이용한 설정 해당 배치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관리자 권한으로 해당 배치파일을 실행한다. 📌 OpenGitBash.bat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 해당 내용을 복사하여 메모장을 실행한다 .txt -> .bat 파일 형식으로 변경하여 실행한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 Open files ; Default Git-Bash Location C:\Program Files\Git\git-bash.exe [HKEY_CLASSES_ROOT\*\shell\Open Git Bash] @.. IDE/Git 2023. 10. 28. [IntelliJ] Can't rename root module Can't rename root module IntelliJ IDEA 프로젝트 rename 오류 발생(gradle 사용 시) can't rename root module 경고 창이 떴을 경우 프로젝트 name 변경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에러 조치 방법 1. 상단 메뉴 File -> 프로젝트 구조(Project Structure) -> 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 -> 프로젝트(Project) -> 이름(Name) 2. setting.gradle 에서 rootProject.name 변경할 이름으로 수정 후에 적용한다. 3. 해당 프로젝트 종료 후에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이름 변경 후 IntelliJ 재 실행한다. IDE/IntelliJ 2023. 10. 27. 로깅 라이브러리 - Logback 로그를 등록하는 라이브러리인 Logbac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로깅(logging)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시스템의 상태나 동작 정보를 시간순으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영역 중 '비기능 요구사항' 에 속한다. (사용자나 고객에게 필요한 기능은 아니라는 의미) 디버깅하거나 개발 이후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때, 원인을 분석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Logback 자바 진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깅 프레임워크는 'logback' 입니다. log4j 이후에 출시된 로깅프레임워크로써 slf4j를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 과거에 사용되던 log4j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자랑한다. 스프링부트의 spring-boot-starter-web 라이브러리 내부에 내장되어있어 별도의 의존성을 추가화지 않..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0. 26. Swagger - REST API 명세 문서화 명세 문서화 명세 : 해당 API가 어떤 로직을 수행하는지 설명하고 이 로직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값을 요청하며 이에 따른 응답값으로는 무엇을 받을 수 있는 지 정리한 자료이다. API는 개발 과정에서 계속 변경되므로 명세 문서도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Swagger 명세 작업은 번거롭고 시간 또한,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Maven 의존성 추가 pom.xml 파일에 있는 안에 해당 문구를 추가해준다. io.springfox springfox-swagger2 2.9.2 io.springfox springfox-swagger-ui 2.9.2 gradle 의존성 추가 build.gradle 파일에 있는 dependencies에 해당 문구를 ..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0. 26. DELETE 메서드 구현 방법(feat. @DeleteMapping) API를 작성하는 다양한 방법 HTTP 메서드에 해당하는 API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내용들 중 하나인 DELETE 메서드의 구현에 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DELELE API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데이터베이스 등의 저장소에 있는 리소스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을 받아 데이터베이스나 캐시에 있는 리소스를 조회하고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를 통해 값을 받는 단계에서는 간단한 값을 받기 때문에, GET 메서드와 같이 URI에 값을 넣어 요청을 받는 형식으로 구현된다. @PathVariable을 이용한 DELETE 메서드 구현 @PathVariable을 이용하면 URI에 포함된 값을 받아 로직을 처리할 수 있다. @RestCon..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0. 25. PUT 메서드 구현 방법(feat. @PutMapping) API를 작성하는 다양한 방법 HTTP 메서드에 해당하는 API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내용들 중 하나인 PUT 메서드의 구현에 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PUT API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같은 저장소에 존재하는 리소스 값을 업데이트하는데 사용한다. POST API와 비교하면 요청을 받아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과정(서비스 로직)에서 차이가 있지만 컨트롤러 클래스를 구현하는 방법은 POST API와 거의 동일하다. 리소스를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 HTTP Body를 활용해야한다. @RequestBody를 활용한 PUT 메서드 구현 PUT API는 POST 메서드와 마찬가지로 값을 HTTP Body에 담아 전달한다. 서버에서는 이 값을 받기 위해 @RequestBody..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0. 25. POST 메서드 구현 방법(feat. @PostMapping) API를 작성하는 다양한 방법 HTTP 메서드에 해당하는 API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내용들 중 하나인 POST 메서드의 구현에 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POST API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등의 저장소에 리소스를 저장할 때 사용되는 API이다. GET API와 POST API의 차이점 GET : URL의 경로나 파라미터에 변수를 넣어 요청을 보낸다. POST : 저장하고자 하는 리소스의 값을 HTTP 바디(Body)에 담아 서버에 전달한다. URI가 GET API에 비해 간단하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sample") public class SampleController{ } @RequestMapping으로 구현하기 메서드를 정의할 .. Book/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2023. 10. 2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5 다음